목록PBR (3)
헬로앤츠
주식 시리즈, 제3탄 '주식을 분석하다-PBR'존재하지 않는 미래를 예측할 수는 없지만, 분석할 수는 있다. ✔ 헬로앤츠 앱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 헬로앤츠 페이스북 페이지 주식을 분석하다, PBR 기업은 시장에서 철수할 때, 기업의 빚을 갚고 남는 돈인 순자산을 주주들에게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그 기업의 주식을 100주 가지고 있다면, 전체 주식수에서 100주에 해당하는 만큼 돌려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주식 1주 당 얼마인가를 알 수 있는 것이 주당 순자산입니다.[ = 순자산 / 전체 주식 수 ]이런 공식으로 구할 수 있지요.어떤 기업이 빚을 다 갚고 나니 100억 원이 남았습니다. 순자산이 100억 원인 것이지요. 그리고 주식은 총 100만 주를 발행 했다면, 주당 순자산은 1만 원이 됩니..
주식분석기법. 앞서 PER, PBR, EV/EBITDA를 다뤘습니다.마지막으로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에 대해 다룰건데요.기업의 이익 창출력을 대표하는 지표라고 합니다.투자의 대가인 워렌버핏도 ROE만큼은 꼭 확인한다고 합니다.그만큼 중요한 분석기법이자 지표이겠지요? 주식분석기법 ROE(자기자본이익률) ROE는 주주에게서 가져온 자본에 대해서 얼마나 많은 이익을 올렸는지 따져보는 것으로 주주에게 매우 중요한 투자지표입니다. 따라서 기업의 성장성 즉, 이익창출력을 대표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과 당기순이익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당기순이익이란 일정한 기간의 순이익입니다. 당기 순이익에서 당기란 1년, 분기, 반기 등 일정한 기간을 의미하고 순이익은 순도 1..
앞서 PER과 PBR이라는 주식분석기법을 다뤘었습니다. 오늘은 EV/EBITDA를 다룰텐데요.이는기업이 얼마에 팔릴 수 있는가와얼마나 돈을 잘 버는가로 비교하는 투자지표입니다.PER, PBR보다는 조금 어려울수도 있지만놓칠 수 없겠죠? 주식 분석 기법 3탄, EV/EBITDA EV/EBITDA는 EV를 EBITDA로 나누는 것으로, 기업이 얼마에 팔릴 수 있는가와 얼마나 돈을 잘 버는가로 비교하는 투자지표입니다. EV(Enterprise value)는 기업가치로 해당 기업을 인수할 때 얼마가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순부채 = 부채 - 현금, 순부채란 현재 기업이 가지고 있는 모든 현금과 현금화 가능한 자산으로 차입금을 상환했을 때 남는 차입금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차입금이란 일정한 기한 내에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