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재테크 (15)
헬로앤츠
앞서 PER과 PBR이라는 주식분석기법을 다뤘었습니다. 오늘은 EV/EBITDA를 다룰텐데요.이는기업이 얼마에 팔릴 수 있는가와얼마나 돈을 잘 버는가로 비교하는 투자지표입니다.PER, PBR보다는 조금 어려울수도 있지만놓칠 수 없겠죠? 주식 분석 기법 3탄, EV/EBITDA EV/EBITDA는 EV를 EBITDA로 나누는 것으로, 기업이 얼마에 팔릴 수 있는가와 얼마나 돈을 잘 버는가로 비교하는 투자지표입니다. EV(Enterprise value)는 기업가치로 해당 기업을 인수할 때 얼마가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순부채 = 부채 - 현금, 순부채란 현재 기업이 가지고 있는 모든 현금과 현금화 가능한 자산으로 차입금을 상환했을 때 남는 차입금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차입금이란 일정한 기한 내에 원..
아마 상당히 많은 분들이 이 통장 하나쯤은 갖고 계실겁니다.부모님이 가입해 주셨던지, 가입을 권유받아 하셨던지...주택청약종합저축통장인데요.별 생각없이 갖고 있었던 이 통장.알고보니 상당히 매력적인 통장이더란 말이죠.주택청약종합저축에 대해 알아볼까요? 주택청약종합저축 요즘 같은 초 저금리 시대에 재 조명 받고 있는 상품입니다. 우선 내 집 마련의 준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통장 가입 기간이나 예치금액에 의해 주택 청약시 1순위가 될 수 있는 자격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금융상품으로서도 우수합니다. 살펴볼까요? 기준금리가 1.5%, 시중은행들의 적금상품 이자율은 2%를 밑돌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에 비해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이자율은 2년 이상 가입 시 연 2.2%입니다. 또한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혜택도 있..
처음 적금을 들으려고 어디 은행이 이자를 많이 주나~검색을 해본적이 있습니다.그러다 비과세 상품이란게 있다는걸 알았습니다.그 당시에는 그 세글자의 의미조차도 이해하지 못했더랬죠.비과세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비과세 비과세의 사전적 의미는 과세 대상에 대하여 과세를 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말이 어렵지만 그냥 느낌에 좋은 것 같죠? 곰곰히 생각해보니... 적금을 들면 이자에서 이자소득세라는 세금을 15.4% 떼어가던것이 기억이 납니다. 안 그래도 쥐꼬리만한 이자에서 떼어가던 세금이엿죠. 비과세 상품은 이런 이자소득세 15.4%를 과세하지 않는, 떼어가지 않는 상품입니다. 그 차이가 얼마나 될까요? 비교해보겠습니다.이자 2%의 과세 상품과 똑같이 이자 2%의 비과세 상품을 가입한다면, 실제로 내 손에 쥐어..
재테크 처음엔 적금만 알았습니다.관심이 늘다 보니 펀드도 알게되고, 주식도 알았습니다.그런데 또 생소한 용어가 나옵니다.MMF? CMA?CMA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CMA, Cash Management Account 사실은 증권사나 종금사의 보통예금통장이라고 보면 될 것입니다. 수시입출금이 가능한데 보통예금통장보다 높은 이자. MMF와 거의 비슷하죠? 맞습니다. 내용이 거의 똑같습니다. 다른 점은 MMF의 경우 주로 은행이 취급하지만, CMA는 증권사 또는 종금사에서 취급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거의 같은 상품이지만 CMA가 조금 더 인기 있는 이유에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 하나. MMF는 익일 입출금이 됩니다. 그에 비해 CMA는 바로 입출금이 됩니다. 또한 입출금 시간도 CMA가 더 자유롭습니다.#..
재테크 처음엔 적금만 알았습니다.관심이 늘다 보니 펀드도 알게되고, 주식도 알았습니다.그런데 또 생소한 용어가 나옵니다.MMF? CMA?MMF에 관한 이야기 먼저 보실까요? MMF (Money Market Fund) 단기 금융시장 투자펀드 MMF는 비교적 자유로운 입출금이 되면서 보통예금보다 높은 이자율을 줍니다. 물론 적금보단 적거나 비슷합니다. 위험도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지요. 그 이유는 단순한 예금이 아니라 투자가 되는 펀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펀드의 특성상 손해를 볼 수도 있고, 예금자 보호법도 적용 받지 않습니다. 하지만 단기 국공채등의 저위험 저수익 투자수단에 투자하기 때문에 위험이 크지 않습니다. 또한 대형증권사나 은행에서 MMF를 가입하는 경우 금융기관이 파산하여 원금과 이자를..
사람들이 가장 처음 하는 재테크는 무엇일까요? 아마도 가장 먼저 적금을 생각하겠죠?적금이란 무엇일까요? 저는 '돈을 모아둠' 이라고 생각합니다.적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적금 아가가 처음 걸음마를 배우듯 적금은 재테크의 준비운동이자 기본과 같아요. 1990년대 시중은행의 연 금리 평균은 10%대였다고 해요. 놀랍지 않나요? 10%라니... 부모님 세대들은 적금만 들어도 제법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었죠. 그러나 2015년 기준금리는 1.5%... '초 저금리 시대'가 왔다고 해요. 2015년 10월 기준으로 시중은행 연 금리 Top 10을 뽑아보니, 가장 높은 이자율이 겨우 2%... ㅠㅠ 자, 뭐 어째뜬 연 금리 2%짜리 상품에 월 100만원씩 넣는다고 가정해볼게요, 원금은 1200만원이 될 것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