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제_뉴스 (20)
헬로앤츠
제 2의 IMF, 다시오나 IMF기억하라 1996... 그 해 겨울도 지금과 비슷했다. 2015-12-08매일경제 헤드라인기사원문 :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5&no=1157742 첫 번째 기사해설로 많은 전문가가 경제위기가 올 수도 있다고 예견한다는 이야기를 전해드렸는데요. 또다시 경제위기를 염려하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기사의 핵심은 IMF 외환위기가 일어나기 일 년 전 1996년 상황과 지금이 매우 흡사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어떻게 비슷한지 살펴보겠습니다. 1. 한·중·일 신 넛크래커, 엔저 공습으로 인한 수출감소 및 수익성 악화96년 한국은 '저비용 중국'과 '고효율 일본'에 끼인 넛크래커 신세였습니다. 이는 수출을 감소하게 했..
빚재 집 한채, 실손보험 중복... '금융 무지'에 노후가 춥다... 2015-12-07중앙일보기사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25&aid=0002570493반퇴시대 : '은퇴해도 못 쉬는 시대' 반퇴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우리 시대 사람들은 100세까지 산다고 합니다. 게다가 우리가 100세가 되는 시점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의학기술에 의해 수명이 더 늘어날지 모릅니다. 그런데 이렇게 오래 살다 보니 문제가 생깁니다. 정년 60세를 다하고 나도 40년을 더 먹고 살아야 한다는 문제입니다. 남아있는 인생의 40%를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답은 두 가지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첫 번째, 은퇴하고 할 수 있..
K뱅크, 카카오은행 예비인가 - 6월전 영업시작 인터넷 전문은행의 탄생IT업계의 두 공룡 KT와 카카오가 인터넷 전문은행 사업자로 선정, 2016년 6월즈음 서비스가 시작된다고 합니다. 신규 은행인가 자체가 23년 만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까다롭고 보수적인 금융산업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어차피 지금 있는 은행들도 모바일, 인터넷 뱅킹 다 되는데 인터넷 전문은행이 나와봤자 뭐 다른가? 세상은 어떻게 바뀔까요? 예적금 금리가 일반은행보다 높을거라 예상합니다. 인터넷 전문은행이기에 점포운영비와 인건비가 기존 은행보다 현저히 낮을 것입니다. 비용의 감소를 소비자들에게 돌려준다면 상대적으로 높은 예적금 금리를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중금리 대출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신용대출의 경우 1~3등급의..
신 넛크래커, 무너진 한중일 분업구조 2015-11-27매일경제 헤드라인 기사원문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1124912 일본에 치이고 중국에 쫒기고 한국 중소기업들 너무 힘듭니다. 이런 상황을 넛크래커라고 하는데요. 한국어로 호두까기 기계를 뜻합니다. 그동안 한중일은 상생하는 분업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일본에서 첨단부품과 소재를 수입해서 한국이 부품모듈을 만들고 중국으로 수출해 싼 노동력을 이용해 조립하는 구조였습니다. 그런데 중국이 2010년 부품산업을 집중육성하는 '차이나 인사이드(China Inside)'정책을 펼치면서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한국은 그렇다고 일본을 따라잡지도 못했습니다. 2012년이후 지난해까지 일본과 한국 기술 격..
누가 한중 FTA 발목을 잡나? 2015-11-26매일경제 해드라인기사원문 :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50&year=2015&no=1120956&sID=300한·중 FTA가 진행되고 있습니다.오늘은 FTA에 대해 알아봅시다. FTA(Free Trade Agreement)는 한국어로 자유무역협정이라고 합니다. 국가 간에 상품/서비스 교역에 대한 관세 및 무역장벽을 철폐함으로써 배타적인 무역 특혜를 서로 부여하는 협정이라고 관세청에서 이야기하네요.^^http://www.customs.go.kr/kcshome/main/content/ContentView.do?contentId=CONTENT_000000000004&layoutMenuNo=4여기서 배타적인 특..
과세 불평등 2015-11-19매일경제 헤드라인기사원문 : http://digital.mk.co.kr/v2/articlePopup.php?MKC=M0&SC=A&YC=2015&MC=11&DC=19&NC=2708182&EC=YYYY&PC=1&PN=2 오늘은 모두가 꿈꾸는 건물주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다들 헬로앤츠때문에 잘 먹고 잘살아서 건물주 될 거 아닙니까?^^ 그때를 대비해서 이런 기사도 잘 읽어 놔야겠죠? 부동산은 두 정부기관에서 세금을 매기기 위해 가치평가를 합니다. 하나는 국세청으로 상속세 부과기준인 국세청 기준시가이고 또 다른 하나는 행정자치부로 재산세 부과 표준인 행자부 시가표준액입니다. 이 두정부기관의 가치평가를 토지의 경우 1989년부터 주택의 경우 2005년부터 통합했는데요. 상가, 오피스..
규제철폐 매달려라... 성장 2% 높인다. 2015-11-18매일경제 헤드라인기사원문 : http://digital.mk.co.kr/v2/articlePopup.php?MKC=M0&SC=A&YC=2015&MC=11&DC=18&NC=2706370&EC=YYYY&PC=1&PN=2 우리나라의 기업규제수준이 OECD 회원국 중 4번째로 높다는 기사입니다. 기사 내용을 보면 기업규제수준을 OECD 회원국 평균으로만 완화해도 2%의 경제성장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어제 기사에서 파이 이야기를 했습니다. 더는 커지지 않는 파이를 나누려다 보니 누군가가 희생해야 한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여기서는 그 이야기를 '제로섬 사회'로 표현했습니다. 쉽게 말하면 성장이 없이 분배를 하려 할 때 누군가가 더 많이 먹으면 누군가는 ..
노동개혁 없는 청년고용, 겨울이 두렵다. 2015-11-17한국경제 헤드라인기사원문 : http://plus.hankyung.com/apps/newspaper.view#article.20151117.A001.900852983 이번 기사는 30개의 청년단체가 전국 대학가를 돌며 1만 명의 대학생들에게 노동개혁에 찬성하는 서명을 받았다는 내용입니다. 정부가 노동개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노동개혁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일단 노동개혁이 왜 진행되는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고용노동부의 노동개혁 홍보 페이지를 보면 노동개혁이 왜 필요한지 4가지 이유를 볼 수 있습니다.http://www.moel-contents.co.kr/worktomorrow/sub01.html1. 일하는..
주택시장 '숨 고르기' 한국경제 헤드라인2015-11-13기사원문 : http://land.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11296801올해에는 주택매매와 전셋값이 동반 상승하고 있었습니다. 예전만큼은 아니어도 부동산시장이 어느 정도 살아나는구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상승세가 이어지던 주택시장에 변화 기류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전세난이 심하던 서울 강북과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매물이 많이 늘어나며 전셋값 하락 단지가 등장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고양 용인 등에선 매매가 상승세도 주춤하는 모습입니다. 원인으로는 주택 공급 과잉 논란과 중도금 대출심사 강화 움직임이 꼽히고 있습니다. 일시적인 현상인지 앞으로 이런 추세가 이어질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